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91

글읽기와 삶읽기 1편 - 조혜정 인상적인 부분의 글 색을 바꾸다, 너무 많아서 그냥 모두 검은색으로 남겨 둔다. 낮잠을 잘 요량으로 골랐다, 그 자리에서 다 읽게 되었던 책. 지은이: 조혜정. 비판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는 말까지도 그냥 외워버려 박제화했다. -p.175 ... 지금도 나의 이야기를 하는 수업보다는 남의 글들을 읽고 요약 정리하여 발표하는 것이 나에게는 훨씬 쉽다. 나의 가슴은 차갑게 놓아두어도 되며 멀리 떨어져 관망하는 자세가 편하다. 나를 들춰내는 것은 아프다. 그러나 그만큼 내가 하는 일에서 해방감이나 신바람을 느낄 수 있는 기회는 없다. (대학원 2학기, 은희) p.124 ... 내가 고민하는 공부가 내가 바로 내가 해야 하는 공부라니! 가정에서 "예, 예" 하고 학교에서 "예, 예"하며입시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우.. 2005. 5. 14.
실수를 허하라 똑같은 것을 배울 때, 발전 속도가 빠른 사람들을 보면, 스스로 이것저것 해보는 사람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많은 시도와 실수를 하면서 그 과정에서 배워 가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는 '실수'가 없다. 왜 그럴까? 한국인들은 실수라는 것에 대해 상당한 공포심을 갖고 있다. 실수 하면 학교에서 선생님한테 맞았던 기억이 남아 있기도 하다. 또한 사회에서도 말 실수 잘못하면, 욱 하는 성질이 있는 한국사람들 때문에 매장 당하기도 쉽다는 것을 종종 목격한다. 실수하면 부모님한테도 혼나고, 주위 사람들한테도 비웃음을 산다. 지들은 해볼 시도조차 하지 않은 사람들이, 남이 하는 실수를 보면서 즐거워한다. 참 바보같은 짓이다. 실수하여 실험기기라도 부서지면 큰일이다. 실수가 알려지면 정말 쪽팔린 일이다.. 2005. 5. 14.
존재와 실존 존재는 '인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통칭하는 것인 반면, '실존'은 '나', 이 글을 읽고/쓰고 있는 바로 '나'라는, 살아 숨쉬고 있는 생명 그 자체를 일컫는다. '자아'라는 것에 대한 확고한 자각을 갖지 못한 사람에게 '나'는 존재하지 않고, 그래서 그에게 '실존'은 '존재 일반'과 같게 느껴진다. 실존과 존재의 차이를 가장 크게 느낄 수 있는 예는 '죽음'이다. '죽음'이란, 인간이라는 '존재'가 맞이할 수밖에 없는 피할 수 없는, 동시에 매우 중대한 사건이다. 그러나 우리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죽음'에 대해 별로 개의치 않는다, 단 그 죽음이 '나'라는 '실존'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전까지는. 대형 사고가 나서 수십, 수백명이 죽어도 별다른 감정의 기복이 생기지 않는 것은, '죽음'이 '존재'의 .. 2005. 3. 16.
존재와 실존 존재는 '인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통칭하는 것인 반면, '실존'은 '나', 이 글을 읽고/쓰고 있는 바로 '나'라는, 살아 숨쉬고 있는 생명 그 자체를 일컫는다. '자아'라는 것에 대한 확고한 자각을 갖지 못한 사람에게 '나'는 존재하지 않고, 그래서 그에게 '실존'은 '존재 일반'과 같게 느껴진다. 실존과 존재의 차이를 가장 크게 느낄 수 있는 예는 '죽음'이다. '죽음'이란, 인간이라는 '존재'가 맞이할 수밖에 없는 피할 수 없는, 동시에 매우 중대한 사건이다. 그러나 우리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죽음'에 대해 별로 개의치 않는다, 단 그 죽음이 '나'라는 '실존'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전까지는. 대형 사고가 나서 수십, 수백명이 죽어도 별다른 감정의 기복이 생기지 않는 것은, '죽음'이 '존재'의 .. 2005.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