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관련112

분석적인 사람이 조심할 점에 대한 소고 - 적당한 곳에서 끝내도록, 뒤죽박죽이 되지 않도록 - 종합적 능력도 병행해서 - 따지지 않도록 '분석적'이란 '왜' 그런지를 파고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유나 원인을 찾아 내려는 태도. 작은 공식 하나도 외우지를 않고, '왜 이 공식이 성립하는거지?'를 묻거나, 'A는 B다'와 같은 언급에 대해 '왜 A가 B이어야 하는데?'를 묻는 태도. 이런 경우 단순암기에 의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아 내기 때문에, 시간은 좀 늦어도, 배워야 하는 것이 어려울 수록 더 잘 적응하는 것 같다. 또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려울수록 더 잘 해결하기도 하는 듯.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조심해야 할 것이 있다. 종종 너무 파고 들어갈 때가 있다. 왜 그럴까? 에 대한 몇 단계의 대답이 주어진다고 해도, 결코 거기서 멈추지.. 2011. 1. 8.
원문의 중요성 언급된 사실에 대하여, 그 사실이 근거하고 있는 원문을 직접 찾아보는 것은 참 중요하다. 왜냐 하면, 인용한 사람은 자신의 논지를 풀어 나가는데에 필요한 사실만을 인용했기 때문에, 원문에 있을 보다 많은 가치있는 정보들을 부득이하게 언급할 필요가 없었고, 따라서 원문을 직접 찾아보지 않는다면 매우 중요한 사실들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물학 논문들의 impact factor가 높은 이유는, impact factor를 계산하는 방식에 의하면, 상호 참조(인용)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리뷰 논문들은 보통 수백개의 인용문이 달린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고, 나의 경우 그 중 정말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논문 몇 개만을 원문을 직접 읽어볼 뿐이다. 흥미로운 점은 리뷰 논문을 읽을 경우, 기존에 알고 있.. 2011. 1. 7.
사라져간 이들을 기리며 사람은 다른 생명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밖에 없는 heterotroph 이다. 나는 그렇기 때문에 채식주의자는 아니다, 그렇다고 굳이 육식을 다른 이들만큼 좋아하지는 않지만. 어차피 개든 새든 식물이든 다른 '생명체'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밖에 없는 것이 heterotroph의 근본적 한계이며, 비록 그, 뭐랄까, 발현의 정도?, 그것이 차이가 날 뿐 작은 곰팡이부터 산호, 이끼, 배추, 시금치, 당근도 개나 고양이, 새, 소처럼 '생명'이 있는 것이다. 전공이 전공이니만큼 '생명'에 대해서 꽤 오랜동안 생각을 해 왔었고, 실제로 우리의 과학적 호기심을 위해 과연 어느 정도까지 생명을 희생시켜야 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를 내가 생각해야 했던 것은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추구하는 것은 이 글 말.. 2011. 1. 7.
생명연장의 꿈, CR caloric restriction, 우리 말로 대충 해보면 식이제한조절 정도?. 수명(life span)을 늘리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regime, caloric restriction. 이것은 현재 과학적 지식으로 보자면 거의 확실한 방법이라 한다. 대략 30% 정도 평소에 먹는 정도를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다고 주서 들었다. 그런데, 두 끼에 몰아 먹는 식으로 하면 오히려 더 늙는다는. ㅋㅋㅋ 맨 처음에 CR 이 생명연장에 효과적이라 했을 때, "어, 난 매일 하고 있는데?" 했더니, 몰아 먹으면 더 늙는다고 >.. 2011.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