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j72

왜, 비판하는가?, 이상주의 2010-06-06 19:36 비판을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그러니까, 실질적인(practical) 목적, 말이다. 나는 그 어느 비판이든 보다 나은 현실을 추구하기 위한 목적이 그 근본에 깔려 있지 않고, 비판의 결과가 어떤 식으로든 실제의 생활에 적용될 수 없다면, 그것이 과연 비판으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인가에 대한 회의가 든다. 물론, 모든 비판이 항상 현실적인 문제를 대상으로 할 수는 없고, 비판의 결과가 언제나 현실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비록 그럴지라도 위(전 단락)와 같은 가정은 언제나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 그러니까, 왜 비판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 목적이 누군가에 대한 비판이며, 그 '누군가'가 그 비판을 듣는 것, 즉, 비판의 궁극적 목적은 .. 2010. 8. 8.
왜 부러워하는가 이 글의 동기가 된 글 : strict weak ordering 원본 작성일: 2010-07-13 00:42 다름, 그리고 고유함. 부러워하지 않아도 된다. 남자들은 연정훈이 부럽지 (만약 부러워 한다면) 결코 한가인이 부럽지는 않을 것이다. 여자들은 한가인을 부러워 하지 결코 연정훈을 부러워하지 않을 것이다. 왜 그런가? 그것은 바로 '비교가능함' 때문이다. '비교'라는 것은 그 작용을 할 수 있는 두 사물이 정해져 있다. 훌륭함에 있어 사람과 팥빙수를 비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마찬가지로 연정훈은 '남자'이고, 남자는 자신과 동류인 연정훈을 비교하지 결코 여자인 한가인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연정훈과 나는 비교가능한 집합에 속한다. 하지만 나와 한가.. 2010. 8. 8.
생명체와 엔트로피 생명체는 엔트로피를 먹고 사는 개체일 뿐이다. 엔트로피란, 물질의 무질서한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이 때, 어느 상태에 대한 '무질서한 정도'란, 그 상태가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자연은 확률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다, 아니, 어쩌면, 자연이 움직이는 규칙을 인식하는 방법 그 자체가 '확률'인지도 모르겠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엔트로피를 낮추기 위해서는, 즉, 무질서한 정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어질러진 방을 치우기 위해서는 '일'을 해야 하는 것과 같다. 생물체는 기본적으로 '열린 시스템'이다. 생물체는, 자신을 이루는 구성 성분들을 특정한 구조로 유지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섭취한다. 소화란, 물질의 엔트로피를 높이고, 그 때.. 2010. 7. 27.
진화에 대한 오해2 지난 글 진화에 대한 오해에서는 진화의 비선형성에 대해 이야기 했었다. 이번에는 목적론적으로 진화론을 이해하는 것을 생각해 보자. 목적론이란, 현상의 진행이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인간이 성에 호기심을 갖는 것은 개체를 잘 남기기 위해서이다", 와 같은 것. 이와 같은 생각은 보다 일반화되어, "자연선택에 보다 적합한 형태를 갖는 방향으로 진화된다", 라는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그런데, "진화"에는 "목적"이 없다. 허영에 대해 생각해 보자. 허영을 이해하는 시각 중에 하나는, 군집생활과 관련한 것이 있다. 즉, 인간은 혼자 살 때보다 여럿이 같이 살 때 생존가능성이 높아 진다. 따라서 군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남의 마음에 들어야 한다. 즉.. 2010.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