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1

가을저녁하늘 무엇을 하는지조차 잘 알지도 못한 채 흘려 보낸 시간들이 아쉬움으로 남을 때가 종종 있다. 요즘 살짝 게을렀던 것도 있고 해서, 그래서, 어제는 비록 일요일이었지만 자리에 앉아 그래도 뭔가를 많이 하다 보니 어느 덧 저녁을 먹을 시간이 되었다. 해가 많이 짧아지기도 했거니와, 약간의 집중이 흐뜨려 놓은 시간의 흐름에 대한 감각에 의하여, 어느 덧 벌써 어두워진 밖을 보고 조금은 놀랐었는데, 더욱 놀라웠던 것은, 아직 해가 완전히 지지 않아 사물들의 윤곽선이 조금은 살아 있는 때, 대기를 덮고 있는 약간의 답답함을 갖는 연무 저 뒤에 아직 남아 있는 해,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만들어져 나온 저녁 노을. 어둠과, 검은 능선과 윤곽들, 연무, 검푸른 하늘 경계면, 건물과 가로등에서부터 뿜어져 나오는 응축된 불빛.. 2010. 10. 26.
matlab의 ode45 :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함수 미분된 식이 존재할 때, 미분되지 않은 원래의 함수를 계산하는 기능이 matlab 의 ode45 로 제공되고 있다. ode45의 사용법을 살펴 본다. ode45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ode45(@미분된 함수 이름, 시간 구간, 초기값) 시간 구간은 row 벡터이고, 초기값은 column 벡터이다. 즉, 시간은 [0 10] 과 같은 형식이고, 초기값은 [1; 2] 와 같은 형식 이다. 미분된 함수의 이름이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함수로, matlab 내부에서는 함수 주소를 입력받아 그 함수를 호출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문제를 접하게 된다. 즉, 각 변수의 미분된 함수식만을 알고 있는 상황이며, 이 상황에서 미분되지 않은 함수를 찾아 내야 하는 것. 사용.. 2010. 10. 23.
통계 분석 - 평균 비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이란 한 집단에 대한 수치에 대하여, 그 수치에 대한 특정 가설을 설정한 후, 그 가설에 기반했을 때 예상되는 수치의 분포와 실제로 관측된 수치를 비교하여 가설을 채택하거나 채택하지 않는 절차를 의미한다. 수치로 표현되는 특성에 대하여, 한 집단의 특징을 대표하는 수치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평균'으로, 평균은 수학적으로 적절한 많은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두 집단이 동일한 것인지 아닌지를 비교할 때 주로 평균이 얼마나 비슷한 것인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생물학 실험을 예로 들자면, 특정한 처리 A를 한 것이 효과가 없다는 것은 처리를 한 집단과 하지 않은 집단이 '평균'으로 대표되는 수치가 다르다고 할 수 없다면 A는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낸다는 의미이다. 이 때, 흔히.. 2010. 10. 21.
R 사용하기 (초보) 오늘 처음으로 R 을 써먹기 위해 이것저것 하고 있다. 어떤 문제들을 겪고,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살펴 보기 위해 기록한다. 우선, RGui 에서 스크립트를 작성하기 위해 새로운 스크립트를 열어서 몇 가지 명령어를 집어 넣은 후 실행을 시키기 위해 기계적으로 F5 를 눌렀는데, 계속 이상하게 실행이 된다. 그래서 찾다찾다 메뉴에 보니 줄 실행과, 전부 실행이 따로 있다. 따라서 F5는 아마도 커서가 있는 위치의 줄만 실행시키는 것 같아서, 전체를 선택하고 F5를 누르니 역시 문제 없이 실행된다. >. 2010.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