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1

상관계수2 상관계수는 두 변수가 관계(association)을 갖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하나의 수치이다. 일반적으로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또는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라고 하는 상관계수를 많이 사용하는데, non-parameteric correlation coefficient 인 Spearman Rank-order 상관 계수나 Kendall's Tau 역시 두 변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글에선 일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CC) 에 관해 살펴 보고, 구해진 PCC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value)를 계산하는 원리를 살펴 보자. (실제로 구현하는.. 2011. 8. 30.
가을 느낌 유난히도 비가 잦던 여름. 비가 그치니 제법 서늘해진 게 부쩍 가을 느낌이 난다. 엊그제, 자리에 앉아 일을 하고 있는데 창문 너머로 햇살이 새어 들어 온다. 바로 얼마 전 실험실 배치를 바꾸었다. 나는 역시나 이번에도 창가 쪽 자리를 선택. 어쨌든, 해가 너머 가기 전에 풍경을 찍고자 카메라를 들고 옥상으로 올라 갔다. 하루의 끝이 이제 조금 남아 있다. 옥상에서 조금 있자니, 이내 해가 산 저 너머로 넘어가버렸다. 쉽게도 너머가버린 해. 하지만 아직 구름은 햇살을 받아 황금빛으로 빛나고 있다. 조금 더 있자니 구름이 붉게 변했다. 이렇게 하루가 지나갔다. 2011. 8. 23.
정체성, 직업정신 : 나는 가수다 우리 사회는 거짓이 참의 자리를 꿰어 차고 있는 경우가 많다. 지금은 심지어 진짜 취급을 받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해야 할 정도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요즘 MBC에서 하는 '나는 가수다'라는 프로는 이에 정면 대결을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진짜를 보여 준다. 참으로 오래간만에 돈을 주고 노래를 들었다. 보통 유툽이나 예전에 받아 놓은 mp3를 들었는데 말이다. 심지어 집에 있게 되면 tv를 보기까지 한다, 연예오락 프로를 말이다. 유일하게 보던 것은 전국노래자랑 뿐이었는데, 오락 프로는. 꽤 오래 전부터 이 방송에서 시작된 글을 써볼까 했는데 지금에서야 써 본다. 정체성: '나'는 가수다. 직업 정신: 나는 '가수'다. 정체성: '나'는 가수다. '나'는 무엇이라 말할 수 있을까? 나를.. 2011. 8. 21.
더블 버퍼링(double buffering) 더블 버퍼링은 화면에 표시해야 할 내용을 미리 메모리에 모두 그려놓은 후 화면으로 한꺼번에 전송하는 방법을 말한다. 어느 프로그램이든지 더블 버퍼링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인데, 기본적인 방법과 사용 예제를 살펴 보자. Visual Studio 2010 (C++임) 으로 작성한 예제를 첨부한다. exe 파일을 실행시킨 후 파일 --> 열기를 하면 1.jpg 파일이 불린다. 그 후 더블 클릭을 하면 그림이 두 배 확대가 된다. 더블 버퍼링은 자바나 Delphi, Visual Basic 등 GUI 프로그램에는 전부 적용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MFC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다른 언어에 관해서는 글의 끝에서 살펴 본다. MFC 특유의 기술적인 부분에 의한 것은 별도로 언급.. 2011.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