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91 탐색기에서 python 파일로 drag & drop 사용 원하는 작업은, 탐색기 내에서, python 스크립트로 처리할 파일을 python script 위로 끌어 놓기(drag & drop)를 했을 때 python script 가 그 파일을 인자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간단히 테스트 해보면 다음과 같다. 위에 사용된 test.py 는 다음과 같이 system의 argument로 넘어 온 내용을 출력하는 아주 단순한 파일이다. 사실 위 기능은 '그냥'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글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갔는가, 를 볼 수 있는 글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나는 원래 w = open('ff.txt', 'w'); 로 해서 sys.argv 를 ff.txt 파일에 저장하려 했으나 파일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곧바로 검색 ㄱㄱㅆ. .. 2011. 1. 10. 분석적인 사람이 조심할 점에 대한 소고 - 적당한 곳에서 끝내도록, 뒤죽박죽이 되지 않도록 - 종합적 능력도 병행해서 - 따지지 않도록 '분석적'이란 '왜' 그런지를 파고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유나 원인을 찾아 내려는 태도. 작은 공식 하나도 외우지를 않고, '왜 이 공식이 성립하는거지?'를 묻거나, 'A는 B다'와 같은 언급에 대해 '왜 A가 B이어야 하는데?'를 묻는 태도. 이런 경우 단순암기에 의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아 내기 때문에, 시간은 좀 늦어도, 배워야 하는 것이 어려울 수록 더 잘 적응하는 것 같다. 또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려울수록 더 잘 해결하기도 하는 듯.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조심해야 할 것이 있다. 종종 너무 파고 들어갈 때가 있다. 왜 그럴까? 에 대한 몇 단계의 대답이 주어진다고 해도, 결코 거기서 멈추지.. 2011. 1. 8. 원문의 중요성 언급된 사실에 대하여, 그 사실이 근거하고 있는 원문을 직접 찾아보는 것은 참 중요하다. 왜냐 하면, 인용한 사람은 자신의 논지를 풀어 나가는데에 필요한 사실만을 인용했기 때문에, 원문에 있을 보다 많은 가치있는 정보들을 부득이하게 언급할 필요가 없었고, 따라서 원문을 직접 찾아보지 않는다면 매우 중요한 사실들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물학 논문들의 impact factor가 높은 이유는, impact factor를 계산하는 방식에 의하면, 상호 참조(인용)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리뷰 논문들은 보통 수백개의 인용문이 달린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지 모르겠고, 나의 경우 그 중 정말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논문 몇 개만을 원문을 직접 읽어볼 뿐이다. 흥미로운 점은 리뷰 논문을 읽을 경우, 기존에 알고 있.. 2011. 1. 7. 잃어버린 생활의 여유를 찾아서 어디를 가나 재빠름이 미덕의 얼굴을 하고 있다. 도대체 왜 빨리 해야 하는 것일까? 무료함 또는 지루함은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 그냥 계속 잤다. 잤을 뿐, 별다른 의미는 없다. 일어나니 꽤 환한 것이 이미 정오를 넘어선 듯 하다. 그렇군, 일어나서 잠깐 시간을 보았는데 12:15 라는 숫자가 명확히 보였던 기억이 있으니까. 조금 잔 것 같았는데 언제 이렇게 많이 잔거지? 또 그냥 무의식 속을 배회하다 정신을 차리고 밖으로 나가니 벌써 해가 서쪽 하늘을 다 넘어가 있다. 저, 서쪽 하늘에서 태양을 가리우는 구름이 못내 미워진다. 하지만, 아직은 햇살이 많이 남아 있고, 커다란 돌 밑에서 제비꽃은 무심히 자라고 있었다. 카드키. 그러니까, 학생증. 학생증을 기숙사에 놓고 왔다. 매점및 약간의 건물을 제외.. 2011. 1. 7. 이전 1 ··· 91 92 93 94 95 96 97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