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냥_생각

일처리 성향에 관하여

by adnoctum 2014. 3. 19.




   어렵진 않지만 다소 손이 많이 가는 일을 시켜 보니 각 사람의 성향이 어떤한지에 대한 느낌이 온다. 누구는 대충대충 하고, 누구는 정해진 규칙에 상관하지 않고 자기 나름대로 괜찮다고 생각되는 대로 해서 거의 제대로 된 것이 없고, 누구는 다소 꼼꼼하게 하고, 누구는 너무 꼼꼼하게 하는 등의 성향이 매우 잘 드러난다. 


   pathway DB를 연구실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할 필요성이 생겨서 우서 KEGG 의 pathway 를 기반으로 해서 만들기 시작했다. 양 자체가 혼자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던지라 몇 개씩 랩 사람들에게 할당을 해줬다. 중요한 것은 각 단백질간의 관계를 연결선으로 제대로 연결하는 것과 각 단백질의 ID 를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었다. 작성법 및 유의 사항에 대한 몇 번의 공지와 개인적인 질문들을 거친 후 석사생들을 중심으로 해서 베포한 후 작업이 끝난 것을 받았다. 그 후, 내가 코딩을 해서 오류가 있었던 부분을 KEGG 의 원 pathway 와 비교를 할 수 있게끔 했다. 즉, gene id 의 입력이 정확하지 않으면 내가 그린 그림에서는 그 node 가 사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KEGG 의 원래 그림과 교차로 화면에 출력을 해서 두 그림의 녹색 사각형의 존재 여부가 비슷한지를 이용하여 입력이 정확히 되었는지 확인하게끔 해 놓았다(아래 동영상). 



위 동영상에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때마다 사라지는 녹색 사각형은 그 사각형에 대한 정보를 잘못 입력한 것이다. 저러한 것이 하나도 없어야 한다. 


   나를 포함 8명이 일을 했다. 아직 전부 확인을 한 것은 아닌데 전반적으로 아이들 성향이 어떠한지 파악은 된다. 사실 저 작업 자체가 매우 지루한 작업이라 100% 완벽하게 하기는 힘들다. 대략 5~10% 정도의 오차는 이해할만 하다. 또한, 하다가 집중력이 떨어져서 실수가 잦아진다는 것 역시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했다. 뿐만 아니라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했다는 것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같은 양의 실수라 하더라도 실수의 성향 자체도 파악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이다. 반면, 상당히 많이 틀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아마도 억지로 겉모습만 비슷하게 맞추려 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내가 분명 아이들에게 하나라도 틀린 거 있음 전부 잡아낼거다, 라고 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렇게 했다는 것은 너무 안일한 태도, 그리고 하기 싫은 것을 눈가림식으로 하는 태도를 떠올린다. 신기하게 한 명은 기계처럼 100%를 정확히 했다. 얘도 좀 이상해, ㅋㅋㅋ. 



   평소 지낼 때는 잘 모르던 성향이 이처럼 다소 지루한 일을 시켜 보니 확연히 드러 난다. 100% 다 맞은 것도 개인적으론 좀 그렇고 적당한 실수 - 꽤나 여러 번의 클릭을 반복해야 해서 실수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 만 있는 아이들에게는 다른 일도 믿고 시킬 수 있겠다는 느낌을 받는다. 반면 하기 싫은 거 억지로 한 티가 확연히 드러 나는 아이들에겐 다소 거리가 느껴진다. 내 개인적인 성향 자체가 하려면 확실하고 정확히 하던가, 대충 하려면 아예 하질 말자, 이기 때문에 뭔가를 대충 하는 사람은 신뢰하기 힘들다. 특히 눈가림만 하려는 습성이 보이는 사람은 더더욱 신뢰하기 힘들다. 겉으로 보기에만 그럴듯하지 내부 역시 그런지는 도무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사람이 한 일은 잘 된 것처럼 보여도 어딘지 모를 불안감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일 같은 경우 gene id 는 화면엔 표시가 되진 않는데 그게 중요하니 잘 입력하라 했거늘 gene 들의 연결 관계만 그럴듯하게 그려 놓고 gene id 를 대충 입력해 놓은 경우가 있다. 분명 일일이 확인 다시 할 거라 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렇게 하다니... 





   약간은 다른 얘기인데, 이번에 아이들에게 일을 시키면서 새삼 깨닫게 된 것은 리더의 조건이란 것이었다. 위와 같은 잘못을 전부 아이들의 습성에서만 찾는다면 그것 역시 오류일 뿐이지, ㅋ. 돌이켜 생각해 보면 위 일 자체가 매우 노동집약적이기 때문에 왜 저 일을 하는지에 대한 이유, 그리고 그것이 되었을 때 연구실에 어떤 도움이 될 것인지를 아이들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그 일의 가치를 좀 더 잘 알게 해 주었더라면 조금 더 신경 써서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지겨워 죽겠는데 이걸 도대체 왜 하라는 거야, 라는 말이 몇 번 정도 나왔을텐데, 그런 말을, 생각을 하는 상황에서는 꼼꼼히 하기 힘들다. 결국 비전 제시가 제대로 안 되었던 것이다. 요즈음에는 일을 나 혼자가 아니라 여러 명에게 분산 시켜 할 생각인데 그럴 때 이 점을 명심해야겠다. 




'그냥_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은 왜 커야 하는가  (0) 2014.03.25
신독  (0) 2014.03.21
꿈을 향하여  (1) 2014.03.08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생각  (0) 2014.03.02
하지만, 정말 그럴까?  (0) 2014.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