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던 코딩을 멈춘다. 대략 25~30대의 컴퓨터를 엮어서 사용 중이다. 그런데 중간에 연결이 끊기면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이것을 메일로 자동으로 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 중이었다. 더불어 몇 가지 더 확인할 사항들을 집어 넣은 후, 이것들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이 상황을 메일로 보내는 프로그램. 대략 30분에 한 번씩 확인해서 메일을 보내는 것. 잠시만이라도 컴퓨터가 놀고 있는 것을 보아 넘어 갈 수 없기도 했고, 내가 직접 확인하지 않을 때도 언제나 확인작업은 진행 중이라는 마음의 안도. 곧, 반대로 말하면, 내가 일을 하지 않고 쉬고 있어도 일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으면 생기는 불안감. 그러니까, 잠시라도 일이 진행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없으면 불안한 것. 중독인 것이다. 그래서, 차라리 일이 2~3일 진행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마음 편히 있어 볼 수 있을 요량으로 하던 일을 멈춘다. 나중에, 정말로 꼭 필요한 상황이라 판단되면 그 때 나머지 코딩을 해야 겠다. 필요한 기능은 전부 확인이 끝난 상태이다, ㅋ. 



   연구실의 컴퓨터들에 내 프로그램(엄밀히 말하면 내 프로그램도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할 뿐)을 실행시키고 있다. 작업할 것을 주고, 끝나면 결과를 받고, 하는 것을 자동으로 만들어서 돌리고 있다. 결과의 진행 상황, 연결의 끊김 여부 만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확인하고 있다. 각 컴퓨터의 보다 많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겠지만 꼭 필요한 상황, 연결 여부만을 확인하고 있다. 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이 있는 상황에서, 하지 말아야 할 것과 하지 않아도 될 것들을 찾아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 컴퓨터 상황. 왼쪽의 4개의 창은 평소엔 잘 안 본다. 창 하나가 각 서버에 연결된 상황인데, 이런 식으로 연결된 연구실 컴퓨터들에서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이 제일 오른쪽의 분홍색이 있는 프로그램 - 요건 MFC 로 작성 - 에 표시가 된다. 오른쪽 모니터의 가운데 도스창이 실제 서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 - 이건 파이썬으로 작성 - 이다. 그 왼쪽은 결과가 내 컴퓨터로 왔을 때 저장되는 폴더를 감시하면서 변화가 생길 때마다 새로운 결과를 정리해서 간략히 보여 주는 프로그램 - 이건 Windows API 로 작성 (C++로) - , ㅋ. 


   학과의 cluster 두 개도 같이 사용하고 있다. 한 개는 core 가 64개인데 대부분 나 혼자 사용...하는데, ㅋㅋ, 24개가 down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164개의 core 가 있는데 다른 연구실에서 관리하고 그 연구실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것이라 나는 세들어 사는 기분, ㅋ. 그래서 그것에선 주로 40~80개 정도의 core 만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연구실 컴퓨터들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은 적을 땐 40개, 많으면 80~100개까지 core를 사용하는 듯 싶다(이것도 확인할 수 있는데 사람들 감시하는 느낌이라 하지 않고 있다). 연구실 구석에 짱박혀 있던 오래 된 컴퓨터들도 돌아 가는 것은 죄다 꺼내 사용하고, 안 쓰던 것들도 적당히 고쳐서 다 돌리고 있다, ㅋ. 이렇게 하니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보고 있다, ㅋ. 역시, 직접 작성하는 것이 최고다, ㅋㅋ. 




'연구관련 > 연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가다에 의한 철야?  (0) 2015.03.05
autodock vina를 직접 compile 해서 사용하기  (2) 2014.11.25
연구 자원(DB 등)  (2) 2014.09.27
100개가 넘는 core를 사용하는 요즘  (1) 2014.08.29
지속되는 두통  (0) 2014.04.09
Posted by adnoctum
,